‘뉴타입 인센티브 제도’ 삼성, 연봉 협상 완료

삼성 라이온즈가 1일 2021년 재계약 대상자 55명과의 연봉 계약을 완료했습니다.
아울러 올해부터 선수가 본인의 계약 구조를 직접 선택할 수 있는 뉴타입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 그간 일률적이었던 연봉 시스템에 변화를 줬습니다. 협상을 통해 합의된 ‘기준 연봉’을 토대로 ‘기본형’ ‘목표형’ ‘도전형’ 가운데 하나를 선수가 고를 수 있습니다.
지난해 신인 김지찬이 팀내 최고 연봉 인상률의 주인공이 됐습니다. 신인 첫해에 135경기를 뛴 김지찬은 2700만원에서 159.3% 오른 7000만원에 사인했습니다.
금액기준으로 최고 인상액을 기록한 선수는 투수 최채흥입니다. 지난해 11승6패, 평균자책점 3.58을 기록한 최채흥은 올해 연봉 1억6000만원을 받게 됐습니다. 기존 연봉 7500만원에서 8500만원(113.3%) 인상됐습니다.
투수 파트에선 이밖에 선발과 불펜을 오가며 공헌한 김대우가 1억1500만원에서 4000만원(34.8%) 인상된 1억5500만원에 계약했습니다.
야수 파트에선 주장 박해민이 지난해 연봉 3억원에서 8000만원(26.7%) 인상된 3억8000만원에 사인했습니다. 후반기 홈런쇼를 보여준 김동엽은 7500만원(55.6%) 오른 2억1000만원을 받게 됐습니다.
삼성 라이온즈는 이번 협상부터 연봉 5000만원 이상의 선수를 대상으로 뉴타입 인센티브 시스템을 적용했습니다. 관행대로 진행됐던 그간의 연봉 결정 과정에서 벗어나 선수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팀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입니다.
우선 팀 고과체계에 근거해 선수와 협상을 통해 기준 연봉이 정해집니다. 이후 기본형, 목표형, 도전형 등 세가지 옵션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입니다.
기본형을 선택한 선수는 고과체계에 근거해 합의한 기준 연봉을 그대로 받게 되며 별도의 인센티브가 없습니다.
목표형을 고른 선수는 기준 연봉에서 10%를 낮춘 금액에서 연봉이 출발하게 되며 이후 성적이 좋을 경우 차감된 금액의 몇 배를 더 받을 수 있습니다.
도전형을 택한 경우, 선수는 기준 연봉에서 20%를 낮춘 금액에서 연봉이 출발하게 되며 이후 좋은 성적을 내면 역시 차감된 20%의 몇 배를 더 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선수 본인이 연봉 체계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개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해가는 과정에서, 선수들이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이기도 합니다.
인센티브와 관련된 각종 기준 수치는 현장 코칭스태프와의 상의를 통해 정리한 뒤 해당 선수와의 조율을 거쳐 최종 결정됐습니다.
삼성 라이온즈는 비시즌 동안 선수들에게 새 시스템에 대해 충분히 설명했고, 선수들의 반응도 호의적이었습니다.
뉴타입 인센티브 시스템 적용 대상 선수 28명 가운데 7명이 목표형을, 6명이 도전형을 선택했습니다. 15명은 기본형을 택했습니다.